|
요약
공간정보표준은 공간정보의 효율적 생산, 관리, 유통, 활용 등을 위해 필요한 일관된 기술 규정이나 규칙으로 공간정보인프라 구축의 중요한 토대가 되며, 공간정보의 공유 및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. 공간정보 표준화 활동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. 표준 운영을 위한 제도 구축 및 전략 수립 관련해서는 표준 제・개정, 표준 법・제도, 표준화 계획 수립 등의 활동이 있다. 민간분야를 위한 서비스 관련해서는 교육, 컨설팅, 홍보 등의 활동이 있으며, 국제 표준화 활동이나 연구 활동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할 활동이다. 국토교통부에서는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을 표준지원기관으로 지정하여 운영하게 함으로써 한국국토정보공사가 표준분야에서 공공기관으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국가와의 협력 관계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. 표준지원기관의 역할은 공간정보관련 표준의 검토 및 제・개정 지원, 민간기술의 국제표준 제정을 지원하는 공간정보표준 Factory, 국제표준화 기구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네트워크 구축 및 국제표준활동 수행, 표준 홈페이지 관리, 표준 인증 시스템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. 공간정보 공유체계의 확립을 위해서 공간정보표준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은 매우 중요하다. 이를 위해서 공간정보표준이 민간부문에서 활발히 사용될 수 있도록 표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준지원기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.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공간정보 표준센터를 설립함으로서 국가에서 제정한 공간정보표준이 민간에서 잘 활용 될 수 있도록 표준 서비스를 제공하고, 공간정보표준의 활용 활성화를 통해 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을 높이고자 한다. 또한 이를 통해 한국국토정보공사가 공공기관으로서 공간정보표준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.
목차
-
제 1 장 서 론
-
연구 배경 및 필요성
-
연구 목적 및 범위
-
연구 동향
-
제 2 장 표준센터의 필요성 및 현황 분석
-
표준센터의 필요성
-
국외 표준관련 기관 현황
-
국내 표준관련 기관 현황
-
법・제도 현황
-
시사점 도출 및 표준센터 설립 방향
-
제 3 장 표준센터의 기능 및 운영체계
-
표준센터의 기능 정의
-
조직 및 인력 계획
-
소요예산 확보 방안
|